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03.22_트럼프 쇄국정책과 한국경제 전망_성장률 -1%, 1년 내 경기침체

경제, 경영

by 문정동 다인부동산 변실장 2020. 3. 22. 13:41

본문

트럼프가 America First 쇄국정책를 펼치면서 미국 경기를 멱살잡고 끌어왔다고 치고

 

그 효과가 코로나로 이제 바닥을 보이면서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이 80%가 되었다고 하는데

코로나 하나 때문에 코스피고 나스닥이고 이렇게 박살이 나고 회생 불가능할 일인가

코로나 하나만 보자면,

여타 다른 바이러스성 감염병처럼 언젠가는 백신이 나오고 침체되고 억눌렸던 소비가 폭발하면 코로나 이전의 경기로 회복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이코노미스트들은 왜 경기침체를 보는 것인가

모멘텀 없이 재정 확장정책 등으로 목숨 부지해온 세계 경기가 코로나라는 타이밍 좋은 이유를 만나 침체되는 것인가

혼란스럽다.

 

IHS·피치, 1·2분기 연속 역성장
2003년 이후 첫 ‘기술적 침체’

2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블룸버그가 경제분석기관 및 투자은행(IB) 이코노미스트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 한국이 향후 12개월 안에 경기침체에 빠질 확률이 33%로 집계됐다. 이 확률은 코로나19의 타격을 예상하기 어려웠던 올해 1월까지만 하더라도 18%에 불과했다.
...
경기침체 우려는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감지되고 있다. 로이터 조사 결과 경제분석기관 41곳 가운데 4분의 3이 세계 경제가 이미 경기침체에 진입했다고 판단했다. 특히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은 80%로 집계됐다.

JP모건은 "2∼4월 사이에 거의 모든 국가가 코로나19에 감염돼 글로벌 경기침체가 올 것"이라며 "역대 최장기간의 글로벌 확장세가 끝날 것이라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지적했다. BNP 파리바 역시 "글로벌 경제가 침체에 진입할 것은 확실하다"며 향후 경제 회복의 시점 역시 예측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2003221001105725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